경영경제 (4) 썸네일형 리스트형 Deal Structuring (4) 공동 인수 후 분리소유 본 포스팅은 신한금융투자 박신화 강사님의 M&A 강의를 수강하며 작성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인수구조는 전략적투자자와 재무적투자자가 함께 투자하는 구조이다. 이는 둘 이상의 전략적 투자자가 하나의 기업을 같이 인수하면, 1. 경영권 분쟁 가능성, 2. 전략적 투자자 간 경쟁관계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두 전략적 투자자가 시너지를 내며 의미있는 Deal을 만들어낸 case들도 있다. 01. KCC 컨소시엄의 Momentive인수 Momentive는 세계3대 실리콘 및 석영 기업으로, 매출의 90%는 실리콘 나머지 10%는 석영 산업에서 나온다. KCC 입장에서는 Momentive를 인수하면 단숨에 글로벌 플레이어로 부상할 수 있지만, 본래 사업과는 관련 없는 석영 사업을 함께 인수해야 하는.. Deal Structuring (3) 구주 인수 vs. 신주 인수 본 포스팅은 신한금융투자 박신화 강사님의 M&A 강의를 수강하며 작성되었습니다. M&A는 양수도 대상에 따라 주식/영업/자산 양수도로 나누어진다고 했다. Deal Structuring(1) 무엇을 살 것인가? 그 중에서 주식 양수도의 경우, 기존에 기업이 발행한 주식(구주)를 인수하는 경우도 있지만, 새로 주식을 발행하여(신주) 인수를 하는 경우도 있다. M&A라고 하면 일반적으로는 구주 매입을 떠올린다. 하지만 피인수기업이 기존 구주를 희석시킬 정도로 신주를 대폭 발행하고 이를 인수기업에 전량 배정하면 구주 매입 없이도 경영권 확보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신주발행으로 인한 경영권 변동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일단 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는 이사회 결의사항인데, 기존 주주가 이사회를 장악하고 있는 상.. Deal Structuring (2) 통매각 vs. 분리 매각 본 포스팅은 신한금융투자 박신화 강사님의 M&A 강의를 수강하며 작성되었습니다. 통매각은 말 그대로 회사 전체를 매각하는 것이고, 분리매각은 각각의 자회사나 영업부문을 분리하여 매각하는 것이다. 01. 그룹 회사의 매각 피인수그룹이 그룹사인경우, 예를들어 아시아나항공처럼 에어서울/에어부산/아시아나IDT/아시아나에어포트 등의 자회사를 보유한 주식회사인 경우 그룹사들간의 산업 연관성에 따라 통매각/분리매각 선호도가 결정된다. -1. 피인수그룹과 그룹사들이 동일한 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경우, 통매각이 선호된다. 이는, 동종사업에서 다양한 그룹사간의 시너지에 높은 매각 프리미엄이 부과되기 때문이다. -2. 피인수그룹과 그룹사들이 상이한 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경우, 분리매각이 선호된다. 사업에 따라 각기 다른 인.. Deal Structuring (1) 무엇을 살 것인가? 본 포스팅은 신한금융투자 박신화 강사님의 M&A 강의를 수강하며 작성되었습니다. M&A Deal Structuring이란 다른 말로하면 "무엇(회사지분? 사업 일부? 자산?)을 어떻게 살 것인가?"이다. 흔히 M&A라고 하면 회사를 전체를 인수하는 것 만을 떠올리지만, 실제로는 M&A로 자산이나 사업의 일부만을 취득하기도 한다. 인수(Acquisition) : 경영권 획득을 목적으로 자산이나 주식을 취득하는 것 주식의 취득 외에도 사업이나 자산의 취득도 인수의 범위에 포함된다! 01. 양수도 대상에 따른 M&A의 분류 M&A 거래로 주식 뿐 아니라 영업이나 자산을 양수도 하기도 한다. 무엇을 양수도하느냐에 따라 양수도 절차가 달라지기도 하고, 양수도 후의 권리와 법률관계 또한 달라진다. -1. 주식 양수.. 이전 1 다음